(55068) 전북 전주시 완산구 콩쥐팥쥐로 1696
대표전화 063-280-7100 팩스 063-286-9206
Copyright ⓒ jthink. All rights reserved
■ 세종실록에 ‘파시(波市)’가 최초로 등장, 신증동국여지승람․숙종실록에도 기록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파시(波市)’가 최초로 등장
- 파시는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에 조기는 동군(同郡)의 서쪽‘파시평(波市坪)’에서 산출된다고 언급되면서 등장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530년)에도 ‘파시전(波市田)’이라고 언급되어 있음
- 파시평, 파시전, 파시는 조기 등 어류가 많이 잡히는 어장을 가리킴
- 파시는 해상위에서 열리는 생선시장으로 일시적 취락이 형성되어 상거래 등 어류의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파시는 회유성 어류로 인해 이동성을 지니고 있음
○ 숙종실록에 ‘파시평(波市坪)’에서 어세(漁稅)를 받아 조세로서 활용했다고 기록
- 파시평(波市坪)의 어세(漁稅)를 받아 진민(賑民, 가난한 백성)의 물자를 쓰고 감영(監營)에서 그 값을 궁가로 보내겠다고 하니 불허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음
■ 500년의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 대표 3대 파시
○ 우리나라 3대 파시는 위도파시, 흑산도파시, 연평도파시임
- 위도, 연평도, 흑산도 지역이 3대 파시로 성장한 이유는 해로가 발달되어 중국 및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하였고, 어종들의 적합한 산란장소, 대량의 소금생산지 등의 영향을 받음
- 파시의 형성 시기를 보면 조선전기(태동기), 조선후기(형성, 성립기), 일제강점기(전성기), 해방이후(쇠퇴기)로 구분할 정도 오랜 역사를 지님
- 파시는 조기어장이 형성되는 시기에 따라 형성되었는데, 2~3월에 흑산도, 3~4월에 위도, 5~6월에 연평도 등을 중심으로 형성
- 파시어장의 참조기 어획량은 1920년대에 3만톤에서 1930년대 8만톤을 기록할 정도 풍부하였으나, 1960년대 들어 와서 급감하기 시작
(55068) 전북 전주시 완산구 콩쥐팥쥐로 1696
대표전화 063.280.7100 팩스 063.286.9206
Copyright (C) jthin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