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북을 대표하는 상징문화공간 조성방안 연구
  • 부서명
  • 지역발전정책연구소
  • 발행일
  • 2011
  • 연구책임
  • 김형오
  • 연구진
  • 이성재 양지인
목차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제2장 상징문화공간의 필요성 및 도민의견 조사
1. 상징의 개념
3. 상징문화공간 조성의 필요성
4. 상징문화공간 조성에 대한 도민의견조사

제3장 상징문화공간 사례 검토
1. 국내 사례분석
2. 국외 사례분석
가.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조성된 랜드마크
나. 도시재생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랜드마크
3. 시사점

제4장 전북 상징문화공간 조성방안
1. 대상지 선정 및 공간범위 설정
2. 전라감영터 현황 및 쟁점
3. 기본구상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닫기
주요내용

❚ 연구의 배경
○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상징적 문화공간은 어디인가. 전북이 한국문화의 뿌리이자 문화예술의 고장을 자처하고, 그 중에서는 전주가 가장 한국적인 도시임을 자타가 공인하는 마당에 전북 혹은 전주의 문화적 상징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상태임

 

○ 세계적인 문화도시들은 대부분 그 도시의 문화를 대표하고 상징하는 문화공간이나 건축물을 갖고 있고 그 건축물과 연계한 거리와 광장을 통해 도시와 문화를 자랑하고 있음
- 프랑스 파리에는 에펠탑과 퐁피두센터라는 도시문화의 상징이 있고, 호주의 시드니에는 오페라하우스가 있다. 스페인의 빌바오는 구겐하임 분관을 통해 단번에 세계적인 문화도시의 반열에 올랐음은 주지의 사실임
- 런던의 테이트모던 미술관은 런던이 산업중심에서 문화중심으로 옮겨가는 상징이 되었으며, 문화도시 혹은 창조도시를 꿈꾸는 많은 이들의 순례코스가 되었는가하면 시민들과 긴밀하게 호흡하면서 그 도시의 대표적인 문화명소가 된 공간들도 있는데, 일본의 가나자와 시민예술촌이나 중국 상하이의 모간산루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함

 

○ 그렇다면 전북과 전주는 어떤가? 전북의 중심도시인 전주에는 어떤 문화적 상징이 있는가? 전주는 최근 10여 년 동안 한국의 전통문화를 선도한 도시였으며, 한옥마을과 전통문화가 어우러지면서 연간 관광객이 1백만 명을 넘은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이 되고 있음

 

○ 전라북도 특히, 전주는 전통문화의 고장이며, 수준이 매우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전통과 문화를 자랑할 만한 대표적인 문화공간은 아직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전주를 다녀간 많은 관광객들에게 전주의 이미지를 깊이 각인시키고 다시 찾아오고 싶은 명소로 만드는 문화적 이미지와 상징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실정임

 

○ 따라서, 전북이 전통문화도시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세계적인 문화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전북의 전통문화의 내용을 계승하고, 전북의 상징성과 대표성을 부여할 수 있는 파리의 퐁피두센터,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미술관,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등과 같은 상징적 문화공간의 건립이 필요한 시점임

 

❚ 연구의 목적
○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다양하게 제기되었던 전라북도의 상징적 문화공간에 대해서 먼저 국내외의 사례를 통해 개념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전북도민들의 상징적 문화공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것임


○ 그리고, 상징적 문화공간이 만들어진다면 어느 지역에 어떤 형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정리를 통해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상징문화공간 조성의 필요성 및 기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전라북도의 상징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음

 

11PR04_10JU39_전북을 대표하는 상징문화공간 조성방안 연구_김형오.pdf

조회수 15266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