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배경
○ 인류의 생존을 좌우할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세계 각국은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사회경제 시스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탄소감축을 위해 혁신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지만, 아직 기술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테크(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배출감소와 기후위기 극복에 도움을 주는 모든 범위의 기술을 지칭하고 있다.
○ 정부는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민관합동 약 145조 원 규모의 투자·R&D를 통해 기후테크 산업 유니콘 기업 10개 육성 및 신규일자리 10만개 창출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기후테크 산업육성 세부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기후테크를 카본테크, 클린테크, 지오테크, 에코테크, 푸드테크의 5대 핵심분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테크 산업의 정책동향 분석, 전북자치도 여건분석, 정책사업제안, 핵심아이템 발굴 등을 통해 전북특별자치도의 기후테크 선점을 위한 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 연구관리 코드 : 24GI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