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기후위기에 따른 복합재난 발생 가능성과 위험이 증가하고 있고 「전북자치도 복합재난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시행(′25.4/′26.1.1)에 대비하여 복합재난에 대한 개념 정립 및 사례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응 방안 마련 필요성 증대
❍ 이에 복합재난의 정의 및 유형, 범위, 사례 등에 대해 정리하고 향후 발생 가능성과 피해 규모 등을 토대로 전북자치도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복합재난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대응 방안 마련, 복합재난관리 주체 간의 협업체계 등 전북자치도 안전관리체계 제시
▶연구내용
❍ 복합재난 관련 선행연구 및 국내외 관리체계 분석
❍ 복합재난 사례조사 및 유형 분석
- 세계 복합재난 발생 현황 분석, 국내외 주요 사례 조사 및 특징 분석
❍ 중점관리 복합재난 유형선정 및 특성 파악
- 전북자치도 재난여건 및 피해현황 분석, 복합재난 발생 대상지역 특성 분석
- 복합재난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중점관리 유형선정 및 전개 시나리오 작성
❍ 전북자치도 복합재난 안전관리 방안
- 기관간협업체계, 안전관리자문단 구성 등 복합재난 안전관리체계, 가이드라인 및 대응 방안
▶연구방법
❍ 전북자치도 복합재난 안전관리계획 수립 기초자료 활용 및 복합재난 시책사업 추진 근거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전북자치도 복합재난 안전관리계획 수립 지원 및 재난안전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안전도 향상